서울시, 장충체육관에서 ‘스피드레이스 8.4’
- 29일(토) 러너 360명 8.4km 주파기록 겨루는 '트레드밀 레이스'
- 개인 120명‧단체 30팀 참여
- 러너들 사랑하는 ‘여의도 둘레길 8.4km’ 마라톤용 트레드밀 주파 기록 겨뤄
- 지난달 문 연 ‘러너스테이션(여의나루역)’ 7월까지 무동력 트레드밀 체험 가능
- 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스포츠 이벤트 지속 마련, 건강한 서울 만들 것”
가금현 기자입력 : 2024. 06. 26(수) 19:58
스피드 레이스 8.4 포스터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CTN]가금현 기자 = 낮 최고기온이 30도에 육박하는 6월의 마지막 주말, 달리기로 더위를 이겨내는 강한 러너들의 대결이 펼쳐진다. 러너 360명이 한 자리에 모여 ‘실내 마라톤용 트레드밀’ 주파 기록을 겨루는 대회가 열린다.

서울시는 6.29.(토) 오전 8시부터 장충체육관(중구 장충동)에서 트레드밀을 달리는 「스피드레이스 8.4」를 연다고 밝혔다. 여의도 둘레길 연장 8.4km를 뜻하는 ‘스피드레이스 8.4’는 ‘지하철역사 혁신프로젝트- 펀 스테이션’ 제1호 러너스테이션(여의나루역) 개관을 기념해 마련됐다.

※ 지하철 역사 혁신 프로젝트- 펀 스테이션(Fun Station) : 지하철 역사마다 차별화된 콘텐츠를 도입하여 지하공간을 매력적인 장소로 전환하여 선보이는 사업으로서, 지난 5월 21일 여의나루역이 물품보관함, 탈의실, 베이스캠프 등을 갖춘 '러너스테이션'으로 개관했다.

이번에 준비될 ‘실내 마라톤 전용 트레드밀’은 러너의 위치를 인식하고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 실제 야외에서 자기 페이스로 달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또 개인 체력에 맞게 스스로 조절하며 달릴 수 있어 실제 마라톤과 유사한 운동 효과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트레드밀 레이스 대회 ‘스피드 레이스 8.4’는 남녀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운영되는데 지난달 중순 진행된 사전 접수를 통해 개인전 120명․단체전 30팀이 신청, 총 360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5월 중순 ‘런플(RUNPLE)’ 앱을 통해 진행된 대회 사전 접수는 신청 첫날 전 부문 마감될 정도로 러너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 참여인원 : <개인전>남녀 120명, <단체전>30팀(팀당 남성 4명과 여성 4명으로 구성)

참가 신청을 못했더라도 이날 행사장 한켠에 트레드밀이 마련돼 누구나 트레드밀 달리기를 체험하는 기회도 제공된다. 또 대회에 참가한 러너를 응원하기 위한 특별한 기념품과 시상도 준비될 예정이다.

대회 참가자 전원에게는 스포츠 브랜드 의류와 에너지․단백질 음료 등이 제공되고 1~3위 우수 참가자에게는 피트니스센터 이용권과 스포츠 브랜드 바우처, 그리고 서울의 캐릭터 ‘해치와 소울프렌즈’ 인형 등 시상품이 차등 제공된다.

한편, 시는 지난달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사 내 새롭게 조성한 ‘러너스테이션 베이스캠프’에도 누구나 체험해 볼 수 있는 무동력 트레드밀을 준비했다. 무동력 트레드밀은 7월 말까지 평일 16시~21시, 별도 예약 없이 찾아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최근 한 TV예능 프로그램에 사전 미션으로 등장해 큰 관심을 끌었던 ‘무동력 트레드밀’은 모터가 없는 러닝머신으로, 전동 트레드밀과 달리 자신의 힘만으로 기기 표면의 벨트를 밀며 달리는 운동기구다. 전동에 비해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등 중심 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게 돼 고강도 유산소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타임테이블 /사진=서울시 제공

김덕환 서울시 체육진흥과장은 “최근 마라톤이나 러닝 대회가 참가 신청을 시작한 당일 빠르게 마감될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어 참신하게 레이스를 겨뤄볼 수 있는 이벤트를 마련했다”며 “앞으로 시민 누구나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스포츠 이벤트를 계속 마련해 건강하고 에너지 넘치는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시는길 /사진=서울시 제공
가금현 기자 ggh7000@hanmail.net
가금현 기자 입니다.
긍정적인 사고로 의리를 지키며 살고싶다.
술은 웃음소리가 밖에까지 들리도록 마셔라!
내가 그자리에 있다고

CTN·교육타임즈·충청탑뉴스·CTN방송 발행인
가금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주요기사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다양한 채널에서 CTN을 만나보세요!

검색 입력폼